일반
2012.12.18 09:29

net use와 subst

조회 수 14393 댓글 0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+ - Up Down Comment Print Files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+ - Up Down Comment Print Files

net use : 공유폴더에 접근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설정하는 커맨드 명령어

 

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net use 입니다. 공유 폴더를 하나 만들어 놓고 (물론 각 서버에서 공통으로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여야 되겠죠) 배치스크립트에 net use를 끼워넣으면 자동으로 결과 파일을 공유 폴더에 전송할 수 있겠죠?

net use \\서버\공유이름 /user:사용자 패스워드

예를 들어 192.168.1.3 서버에 test 폴더를 공유 걸었고, 사용자가 snoopy이고 패스워드가 1234라 한다면

net use \\192.168.1.3\test /user:snoopy 1234

 

C:\>net use /?

이 명령에 대한 구문:


NET USE

[장치 이름 | *] [\\컴퓨터 이름\공유 이름[\볼륨] [암호 | *]]

[/USER:[도메인 이름\]사용자 이름]

[/USER:[점으로 구분된 도메인 이름\]사용자 이름]

[/USER:[사용자 이름@점으로 구분된 도메인 이름]

[/SMARTCARD]

[/SAVECRED]

[[/DELETE] | [/PERSISTENT:{YES | NO}]]


NET USE {장치 이름 | *} [암호 | *] /HOME


NET USE [/PERSISTENT:{YES | NO}]


좀더 간략히 자주 필요한것을 정리 하면

C:\>net use --- 현재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상태를 모니터링 해 줍니다.

C:\>net use \\[경로] /delete ---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해재 합니다.

C:\>net use */delete --- 모든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해재 합니다.

C:\>net use \\[경로] /persistent:no ---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일시적으로 연결 합니다.

C:\>net use \\[경로] /persistent:yes ---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연결을 재부팅 후에도 지속적으로 연결 합니다.


좀더 구체적인 예 입니다.

net use H: /Home
net use J: \\MainServer\Users\%Username%
net use W: \\MainServer\groupShare /Persistent:No

net use Z: \\192.168.100.100\shareFolder /persistent:no

net use Z: \\192.168.100.100\shareFolder password /persistent:no

 

 

subst 명령어 (Substration Shell)

 

쉘에서의 subst 명령어는 디렉터리 혹은 주소를 가상 드라이브로 치환하는 역할을 해 줍니다.
예를 들어, C:\Development라는 폴더를 X:로 치환을 하고 싶으시면

subst X: C:\Development


cd X: 로 X:에 접근하시거나, 내 컴퓨터를 열어서 X:가 잡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반대로, 치환 드라이브를 제거하려고 하시면 /D 를 써주시면 됩니다.

subst X: /D


주의할 점은, 컴퓨터를 재부팅을 하면 치환시켜놓은 드라이브가 모조리 날라가 버립니다.
즉, 명령도 재실행을 해야 하는데요,
적절한 배치 파일을 만들어서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을 하시거나,
'Visual Subst' 라는 간단한 윈도우 프로그램이 있으니 그 프로그램을 사용하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.


Dreamy의 코드 스크랩

내가 모으고 내가 보는

List of Articles
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추천 수
251 PHP SQL 일정 시간단위로 데이터 검색하기 2020.02.12 6017 0
250 일반 SQL Injection 우회 정리 2019.07.10 9188 0
249 PHP SQL :: EXIST , NOT EXIST 2022.09.05 2573 0
248 Pi SPI란? (Serial Peripheral Interface) 2017.04.20 16584 0
247 개념 SPDY(스피디) : 더 빠른 웹을 위한 실험적인 프로토콜 2012.08.21 16228 0
246 C# SmtpClient로 메일 보내기 - gmail 2013.01.18 13049 0
245 PHP Simple GD example 2014.07.10 8725 0
244 Pi Simple DAC - PWM을 Voltage로 변환하는 회로 file 2016.11.21 8667 0
243 LINUX shutdown 명령어 2013.07.26 11054 0
242 LINUX shell 에서 background로 명령어 수행하기 2014.11.11 38277 0
241 일반 SELECT 문 간단 2012.08.31 13614 0
240 개념 SEI(Supplemental Enhancement Information) - H.264, AVC 2012.03.29 19351 0
239 LINUX sed 사용법 1 2006.02.16 42976 21
238 Pi SD Memory 카드 SPI 3.3V/5.0V 인터페이스 모듈 Atmega2560 제어 예제 2016.12.27 7926 0
237 LINUX screen 명령어, 터미널 멀티세션 제공 1 2014.01.21 56444 0
목록
Board Pagination ‹ Prev 1 ...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... 34 Next ›
/ 34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

Designed by sketchbooks.co.kr / sketchbook5 board skin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