취미

테니스 규칙 정리(초보)

by Dreamy posted Jun 27, 2024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ESC닫기

+ - Up Down Comment Print

<테니스 코트>


1. 기본 규격:
테니스 코트는 직사각형이며, 세로 길이는 23.77m입니다.
단식: 가로 길이 8.23m
복식: 가로 길이 10.97m
2. 주요 라인:
  • 베이스라인: 네트와 반대쪽에 있는 라인
  • 사이드라인: 코트 양쪽에 있는 라인
  • 서비스라인: 네트로부터 6.4m 떨어진 라인
  • 더블 라인: 네트 양쪽에 있는 라인 (복식 경기에서 사용)
  • 센터 마크: 네트 중앙에 있는 표시
3. 네트:
높이: 0.914m
포스트 높이: 1.07m

<경기 방식>
단식, 복식, 혼합 복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됩니다.
단식은 1:1, 복식은 2:2로 진행됩니다.
  • 경기(Match)는 점수(Point) – 게임(Game) – 세트(Set)로 이루어집니다.
  • 경기(매치)는 세트로 구성되며, 세트는 게임으로 구성됩니다. (1승 ← 2세트 勝 ← 6게임 × 2 勝 ← 4포인트 × 6 × 2)
  • 먼저 6게임을 이기는 선수가 세트를 승리하며, 먼저 2세트를 이기는 선수가 승리합니다.
  • 게임 점수는 15, 30, 40, 게임 순으로 진행됩니다.
    듀스 상황에서는 2점 차이를 벌려야 게임을 승리합니다.
  • 6-6 동점 상황에서는 타이브레이크를 통해 승자를 결정합니다. (7포인트 획득시 승리)
포인트는 
  • 0점일때는 러브 1점일때는 fifteen 2점일때 thirteen 3점은 forty
  • 15:0인 경우에는 핍틴러브라고 부르고 동점인 경우에는 올이라고 붙여서 30:30인 경우에는 써티올
  • 포티올이 되는 경우에는 공식경기에서는 듀스로 진행이 되지만 동호인들의 경우 보통 노애드라고 해서 한 포인트를 가져가는 팀이 게임에 승리하게 됩니다.


<서브 기본 규칙>
  • 서브는 베이스라인 뒤에서 센터 마크와 사이드 라인 사이에서 진행됩니다.
  • 서브 시 공은 라켓으로 한 번만 쳐야 합니다.
  • 서브 시 공은 라인을 넘지 않고 서비스 박스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.
  • 서브 시 발이 베이스라인을 넘거나 밟지 않아야 합니다.

서브 순서
  • 단식: 첫 번째 서브는 오른쪽 서비스 박스에서 시작하고, 두 번째 서브는 왼쪽 서비스 박스에서 진행합니다.
    - 서브를 넣는 것과 동시에 시합을 시작하며, 한 게임이 끝나면 서브권은 상대에게 넘어가게 됩니다.
    - 첫 서브는 오른쪽에서 넣고, 대각선으로 공을 보내야 합니다.
    포인트를 따게 되면 이번에는 왼쪽에서 넣는 식으로 포인트 획득 시마다 방향을 바꿉니다.

  • 복식: 서버는 첫 번째 서브를 오른쪽 서비스 박스에서 시작하고, 파트너는 왼쪽 서비스 박스에서 진행합니다. 두 번째 서브는 서버와 파트너가 서로 바꿔서 진행합니다.
    - 서브권이 먼저 있는 팀에 포자리를 시작으로 포-백순으로 서브를 진행
    - 서브는 한 게임 동안 한 선수가 오른쪽 코트(듀스 코트)부터 왼쪽 코트(애드 코트)를 포인트당 교차하여 넣어요.
    - 당사자들끼리 순서를 정해 네 사람이 번갈아 넣게 됩니다.
    (예) A,B VS C,D가 게임시
     > 첫번째에서 A가 Serve를 하면 두번째에서는 상대팀인 C, D 중 한 사람이 해야 하며, A와 같은 팀인 B는 세번째에서 해야 합니다.
     > 공통적으로 Serve는 2회 연속 폴트(공을 헛치는 경우에 선언되는 규정 위반 선언)되었을 경우, 받은 공을 바닥에 한 번 튕기지 않고 공중에서 바로 칠 경우에는 실점을 합니다.

  • 서브는 네트와 서비스라인 대각선 반대편 안으로 떨어져야한다. 여길 넘어가면 폴트임.
  • 더블 폴트가 나면 베이스라인 왼쪽으로 이동해 세컨 서브를 넣는다.

코트 체인지
  • 게임 세트의 합이 홀수일 때 (예 - 1:0, 2:3 등등) 팀 간 코트를 체인지한다


폴트 및 렛
  • 폴트: 서브 규칙을 위반하면 폴트가 선언됩니다. 두 번 연속 폴트 시 상대에게 득점이 주어집니다.
  • 렛: 서브 시 공이 네트에 걸렸다가 서비스 박스 안에 들어가거나, 서브 시 공이 라인에 닿는 경우 렛으로 처리되고 서브를 다시 진행합니다.

서브 관련 용어
  • 퍼스트 서브: 첫 번째 서브 기회입니다.
  • 세컨드 서브: 두 번째 서브 기회입니다.
  • 더블 폴트: 두 번 연속 폴트를 하는 경우입니다.
  • 에이스: 상대가 리턴하지 못하고 득점하는 서브입니다.
  • 서비스 게임: 서버가 자신의 서비스 게임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
<기본 매너>

  • 악수: 경기 전후로 상대방과 악수를 나눕니다.
  • 라인콜: 상대방의 공이 라인을 넘었는지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합니다.
  • 코트 매너: 경기 중 큰 소리를 내지 않으며, 상대방의 플레이를 방해하지 않습니다.

  • 점수 카운트는 서버가 한다
  • 가까운 사람의 라인콜을 존중한다
  • 게임을 진행하고 있을때 코트 주변으로 다니거나 코트 안으로 난입하지 않는다
  • 상대에게 공을 넘겨줄 때 투바운드 정도로 받기 편하게 건넨다
  • 공이 멀리 날아간 경우 가까운 사람이 달려가서 가져온다
  • 게임 전 후로 인사를 나눈다
  • 퍼스트 서브 실패시 공을 줍지 않고 게임에 방해가 되는 경우에는 빠르게 처리한다
  • 코트사용시 뒷사람이 있다면 늦어도 5분전까지 마무리한다

  • 첫 서브 넣을 때 '안녕하세요' 인사하기 (??)
  • 내가 친공이 상대편몸에 맞으면 고의가 아니여도 사과하고 게임을 진행
  • 랠리를 하고 있는 코트에 방해 되지 않도록 코트를 돌아서 이동
  • 게임이 진행되는 옆 코트로 공이 넘어갔을 시, 절대! 주으러 가면 안되고 잠깐 게임이 중지된 상황(포인트 따거나 한 경우) 땡큐볼~~! 이라고 외치면 공을 넘겨주신다. 공 넘겨 줄때도 땅으로 굴리지 말고 던져서 전달.
  • 복식 게임 진행할때, 포인트를 따거나 하면 같은 팀 사람과 라켓 인사 하는 방법 - 아래 사진과 같이 한명은 라켓 면, 다른 한명은 라켓 프레임을 맞댄다.
  • 경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상대 팀과 스트로크에서부터 발리, 스매싱 순으로 충분히 몸을 풀어 줍니다. 몸을 풀기에 앞서 간단히 “반갑습니다.”라고 목례를 하며 인사를 나눕니다. 
  • 몸이 모두 풀렸으면 코트에 모여 간단히 인사를 나누고 가위, 바위, 보로 서브권과 코트를 선정합니다. 
  • 서브를 처음 넣는 사람은 상대 선수에게 “반갑습니다”, “안녕하세요”라며 인사를 하고 경기를 시작합니다. 
  • 경기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시비 요소는 인ㆍ아웃 시비와 상호 잘못 기억하고 있는 스코어 문제가 가장 많습니다. 인ㆍ아웃의 시비는 심판이 없으므로 셀프 저지(judge)라고 하여 공을 받는 쪽에서 콜하는 것에 대해 따르는 것이 원칙이라고 봐야 합니다.
image.png?type=w773

<용어정리>

  • 거트 (gut) :  라켓을 매는 줄. 스트링(string)이라고도 함
  • 게임 (game) 
    : 보통 4점이 한 게임이 되며, 듀스일 때에는 한쪽편이 이길 때가지 시합이 계속됨.
    6게임을 1세트로 하여 먼저 6게임을 얻은 쪽이 승자가 되고, 듀스는 5:5부터 시작된다.​
  • 게임즈 올 (games all) : 쌍방이 5게임 씩 얻었을 때의 연장 세트
  • 그라운드 스매시 (ground smash) : 높은 로브를 한 번 지면에 떨어뜨려서 튀게 한 후 세게 때리는 스매시
  • 낫 레디 (not ready) : 서비스 때 리시버가 아직 준비가 끝나지 않았을 경우 외치는 소리
  • 낫 업(not up) : 2회 바운드 된 볼을 쳤을 때 심판이 사용하는 언어
  • 드라이브 발리 (drive volley) : 드롭샷과 유사하나 땅에 일단 튄 그라운드 스트로크가 아니고, 발리를 한 것
  • 드롭 샷(drop shot) : 네트 바로 가까이에 볼을 떨어뜨리는 타법
  • 드루 업 (throw up) : 서비스 때 서브를 하기 위해 볼을 공중으로 던져 올리는 동작
  • 드리프트 플레이(drift play) : 네트 맨이 페인트를 써서 포치하는 듯이 하여  상대방을 실수하게 만들거나 볼을 아웃시키는 트릭 플레이
  • 디폴트 (default) : 기권
  • 레스트링 (restring) : 거트를 새 것으로 갈아 끼우는 것.
  • 레지스터드 플레이어 (registers player) : 인정 선수. 각국 테니스협회가 인정하면 아마추어 선수라도 상금을 탈 수 있다.
  • 레트 (let)
    : 무효. 서비스를 할 때 네트에 맞고 볼이 정당한 코트에 들어갔을 때,
    또는 준비자세가 안된 리시버에게 서브를 넣었을 때를 말하는데, 이 때는 다시 서브를 하게 된다.
  • 어드밴티지 게임 (advantage game)
    타이브레이크를 적용하지 않는 경기. 즉 연속 2게임을 이겨야 승부를 가리는 스코어링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기. 롱게임(long game)이라고도 한다.
  • 어드밴티지 아웃 (advantage out)
    듀스 뒤 리시버가 1점을 땄을 때. 애드 아웃(ad-out)이라고도 한다.
  • 어드밴티지 인(advatage in) : 듀스 뒤 서버가 1점을 땄을 때. 애드 인(ad-in) 이라고도 한다.
  • 폴트 (fault) : 서비스의 실패
  • 풋워크 (foot work) : 발의 움직임
  • 풋 폴트 (foot fault) : 서비스를 할 때 라인을 밟거나 달리면서 하는 반칙 행위




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

Designed by sketchbooks.co.kr / sketchbook5 board skin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